첫 시작/산업안전

[240724] 기출문제

DAY-α 2024. 7. 24. 22:21
728x90
반응형

 

 

 

- 맥그리거 (McGregor) 의 Y이론과 관계가 없는 것은?

 

  1. 직무확장
  2. 책임과 창조력
  3. 인간관계 관리방식
  4. 권의주의적 리더십

 

정답 : 4번 권의주의적 리더십

 

해설 :

X이론은 조직 구성원에 대한 전통적 관리전략을 제시하는 이론으로써, 사람은 본래 일하기를 싫어하고 야망이 없고 책임지기를 싫어하며 명령에 따라가는 것을 좋아하고 변화에 저항적이고 안전을 원하며, 자기중심적이며 속기 쉽고 영리하지 못하며 사기에 잘 속는다고 가정한다. 이러한 X이론에서의 관리자의 관리전략은 직원들의 행동을 감독·통제하고 시정하는 책임을 지며 처벌·통제·위협 등을 선호한다고 가정한다.

 

Y이론은 인간의 본성은 일을 싫어하지 않고 사람은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자율적으로 자기 규제를 할 수 있으며, 조직목표에 헌신적 인간을 가정한다. 또한 조직목표에 헌신하는 동기는 자기실현 욕구나 존경욕구의 충족이 가장 중요한 보상이며, 조직문제 해결에 있어 창의력과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한다. Y이론에서의 관리자의 관리전략은 개인목표와 조직목표를 조화 될 수 있도록 하며, 관리자는 직무를 통하여 욕구가 충족되고 개인이 발전 할 수 있는 운영방침을 채택하는 것이다.

 

말하자면, Y이론은 인간에게 노동은 놀이와 마찬가지로 본래 바람직하고 인간은 노동을 통해 자기실현의 욕구가 있다는 가설. 권위주의적 리더십은 Y이론과 배치되는 관리방식이다.

 

 

 

 


 

 

 

 

-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 내 안전 · 보건 교육 중 채용시의 교육 내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? (단, 기타 산업안전 보건법 및 일반관리에 관한 사항은 제외한다.)

 

  1. 사고 발생 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
  2.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
  3. 기계 · 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 및 동선에 관한 사항
  4. 작업공정의 유해 · 위험과 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사항

 

정답: 4번 작업공정의 유해 · 위험과 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사항

 

해설 : 작업공정의 유해 · 위험과 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사항은 관리감독자 교육이다.

 

 

 

 


 

 

 

 

 

- 무재해운동 추진의 3요소에 관한 설명이 아닌 것은?

 

  1. 모든 재해는 잠재요인을 사전에 발견 · 파악 · 해결함으로써 근원적으로 산업재해를 없애야 한다.
  2. 안전보건은 최고경영자의 무재해 및 무질병에 대한 확고한 경영자세로  시작된다.
  3. 안전보건을 추진하는 데에는 관리감독자들의 생산활동속에 안전보건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.
  4. 안전보건은 각자 자신의 문제이며, 동시에 동료의 문제로서 직장의 팀 멤버와 협동 노력하여 자주적으로 추친하는 것이 필요하다.

 

정답 : 1번 모든 재해는 잠재요인을 사전에 발견 · 파악 · 해결함으로써 근원적으로 산업재해를 없애야 한다.

 

해설 : 

무재해 운동의 3원칙

 

(무의 원칙) 모든 잠재위험 요인을 사전에 발견하여 해결하여 근원적으로 산업재해를 없앤다.

(참여의 원칙) 작업에 따르는 잠재적인 위험요인을 발견, 해결하기 위하여 전원이 협력하여 문제해결 운동을 실천한다.

(안전제일의 원칙<선취의 원칙>) 직장의 위험 요인을 행동하기 전에 발견, 파악, 해결하여 재해를 예방한다.

 

무재해 운동 추진의 3요소

 

(직장의 자율활동의 활성화) 직장의 팀 멤버와의 협동노력으로 자주적으로 추진해 가는 것이 필요하다.

(라인<관리감독자>화의 철저) 관리감독자들이 생산활동 속에 안전보건을 접목시켜 실천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.

(최고경영자의 안전 경영철학) 안전보건은 최고 경영자의 확고한 경영자세로부터 시작된다. 동 속에 안전보건을 접목시켜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실천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.

 

 

말하자면, 모든 재해는 잠재요인을 사전에 발견· 파악 · 해결함으로써 근원적으로 산업재해를 없애야 한다. 는 무재해 운동의 3원칙 중 하나 이다.

 

 

 

 


 

 

 

- 헤드십(headship)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
 

  1. 상사와 부하의 사회적 간격은 넓다.
  2. 지휘형태는 권위주의적이다.
  3. 상사와 부하의 관계는 지배적이다.
  4. 상사의 권한 근거는 비공식적이다.

정답 : 4번 상사의 권한 근거는 비공식적이다.

 

해설 : 

 

집단관리와 리더십

(1)리더십의 유형

(2)리더십과 헤드십

     1)리더십 : 집단구성원에 의해 내부적으로 선출된 지도자로 권한을 대행한다.

     2)헤드십 : 집단 구성원이 아닌 외부에 의해 선출(임명) 지도자로 권한을 행상한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*외부로부터 임명된 헤드(HEAD)가 조직 체계나 직위를 이용, 권한을 행사하는 것이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지도자와 집단 구성원 사이에 공통의 감정이 생기기 어려우며 항상 일정한 거리가 있다.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*권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 부하직원의 활동을 감독한다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 상사와 부하와의 관계가 종속적이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 부하와의 사회적 간격이 넓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 지휘형태가 권위적이다.

 

리더십 (leadship) 헤드십 (headship)
민주주의적 권위주의적
밑으로부터의 동의된 통솔력 위로부터 임명된 권한행사
전문적 지식 공식적 / 법적 규정
상관과 부하와의 관계는 개인적 상관과 부하와의 관계는 지배적
상사와 부하와의 사회적 간격은 좁다 상사와 부하와의 사회적 간격은 넓다
 

 

 

 

 

 


 

 

 

 

 

- 교육의 형태에 있어 존 듀이(Dewey)가 주장하는 대표적인 형식적 교육에 해당하는 것은?

 

  1. 가정안전교육
  2. 사회안전교육
  3. 학교안전교육
  4. 부모안전교육

정답 : 3번 학교안전교육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